ipg/ewma ping에 대한 글을 올리다가 A옵션과 f옵션을 사용하여 적응성 핑, 플러딩 모드를 작동시키면 마지막에 rtt외에 추가적으로 이 값이 출력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이 값이 무엇인지 찾아보았는데요. ipg = Inter Packet Gap 패킷간의 간격입니다. 패킷 사이의 차이값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정확한 설명을 찾다보니 패킷을 처리하는데 일정 수준의 제약(?), 최소시간이 필요한데 이 값이 그러한 최소시간을 나타낸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하나의 패킷을 처리하고 다음 패킷을 가는데 걸리는 시간, 한패킷을 처리하는 시간 정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ewma = Exponential Weighted Moving Average 데이터의 기술적인 분석에서 사용되는 것이라..
Ping 옵션에 대하여 Linux에서의 사용법을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사실 옵션이 윈도우에 비해서... 많은 관계로 글을 나눠서 작성하려고합니다. Windows나 ping 개념을 원하시면 아래 글로 이동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Ping의 기본 개념 2018/04/23 - [Analysis/Network] - Ping & Traceroute Windows에서의 ping 사용법 2018/04/23 - [Analysis/Network] - Ping의 다양한 option 사용법-1 (Windows) IPG/EWMA란? 2018/04/24 - [Analysis/Network] - ipg/ewma란? 차이 Linux에서는 Windows에서보다 옵션이 더 많으며 기본적으로 Windows에서는 default가 4개의 ..
Ping에 대해 간단한 설명 드렸었는데요 2018/04/23 - [Analysis/Network] - Ping & Traceroute 2018/04/24 - [Analysis/Network] - Ping의 다양한 option 사용법 2-1 (Linux) 이번에는 옵션에 관하여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윈도우의 옵션들을 정리해볼게요 옵션 중 자주 사용되는 옵션들만 설명 할께요. -t 옵션 : 사용자가 중단하기 전까지 지속됩니다. -n (count) 옵션: 보낼 횟수를 정하는 옵션입니다. 두가지는 같이 사용할 수 없겠죠? 두가지를 같이 사용해 보면 n 10의 옵션이 우선되어 10개의 응답 요청만 보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l (size) 옵션 : 데이터 크기를 정합니다. 네트워크 상황에..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관련된 용어를 하나씩 실습하며 정리할 수 있게 하려고 하면서 고민을 많이 했는데요. 우선 처음으로 네트워크 취약점 진단, 모의해킹 등. 상태 파악을 위해 사용하는 Ping과 traceroute(tracert)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가장 단순하면서도 좋은 명령어로 네트워크 환경 파악을 위해서 사용됩니다. ping은 icmp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명령어에 지정한 주소로 응답요청을 보내고 그 응답을 받아 네트워크 상태를 파악하게 하는 명령어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ping 구글도메인 ping 명령어 뒤에 구글 주소 지정하여 icmp응답요청을 보냈습니다. 당연히 이 도메인명외에 IP 주소로도 입력 가능합니다. ping 172.217.25.196 구글 주소의 IP..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보처리기사 실기 독학 후기에 대해서 글을 남겨보려고 합니다. 18년도 1회차 실기 접수 상태입니다. 전체적인 느낌 정보처리기사 실기 문제가 완전 주관식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난이도에 대한 걱정을 많이 했었습니다. 실제 제가 독학으로 공부해보니 이전의 공부 방식(주변에서 지인들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 보다 난이도가 올라갔고 많은 시간 투자를 해야하더라고요 다만 좋은 점은 주관식으로 적어야하기 때문에 문제는 쉽게 나오는 편이지만 완전 주관식이기 때문에 예전 처럼 주관식 보기를 보고 찍거나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체감상의 난이도는 올라갔다고 생각합니다. 실기책 공부방식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실텐데 독학은 실기 시나공 책으로 진행하였고요 전 정보보안기사 시험과 병행 중이라 2주정도의 시간이 있었..
오늘은 정보보안기사 필기에 대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작년 10회차에 산업기사 시험 응시해서 합격했었습니다. 이제야 기사 응시자격이 생겨 정보처리기사와 함께 18년도 1회차 시험을 보고 있습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공부를 하니 하루종일 공부하기는 힘들었지만 꾸준히 하였고요 시험 공부 기간: 3주 - 하루 2~3시간 우선 산업기사준비를 하면서 기사와 같은 파트인 시스템보안,네트워크 보안, 애플리케이션 보안, 정보보안 일반과 관련되어서는 미리 어느정도 공부가 된 상태였습니다. 정보보안관리 및 법규 파트에 시간 투자를 많이 했습니다. 기존의 산기와 겹쳐서 생각해본다면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4주~5주 정도 시간을 할애 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하루에 투자하실 수 있는 시간이 어느정도냐에..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잠시 시험공부를 하면서 느낀 점을 남겨보려고 합니다. 공부방법이나 자격증 공부방법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따라가주세요 2018/04/28 - [Certificate & Life] - 정보처리기사, 정보보안기사 각종 자격증 공부 방법 노하우 정보처리기사 시험일정은 매년 3회 실시되고 있습니다. 전 1회차 시험을 접수하여 시험을 봤고 실기 또한 접수한 상태입니다. 3월 31일에 정보보안기사 필기시험을 접수해놓은 상태라 사실 실기 준비를 하기는 좀 벅찬 감이 있긴 하네요. 뭐 그래도 정보처리기사 필기 준비하실 분들을 위해서 팁을 드리겠습니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공부는 대략 2주 정도 공부했습니다. 전공자이긴 하지만 보안 쪽으로 관심이 많아 어렵거..
- Total
- Today
- Yesterday
- 정보처리기사
- 핑
- 영화 해석
- 정보보안기사
- PE 구조
- PE
- OllyDbg
- AirCrack
- printf
- peview
- reversing
- 정보처리기사실기
- aircrack-ng
- PE 구조체
- 영화 조커
- 리버싱
- ping option
- PE header 구조
- 올리디비지
- ping 옵션
- VMware
- pe header
- Network Ping
- ping
- C언어
- 기초
- pingoption
- 악성코드
- linux ping
- 조커 해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