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ping option 마지막 글이네요 중간에 다른 길로도 빠지고 정리해 놓은 글이 날라가는 바람에 다른 글들을 작성하다가 드디어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2번째 글에 이어서 옵션들을 설명하겠습니다. -R 옵션 라우팅 경로에 대해서 출력해주는 옵션입니다. 해당 패킷을 보내게 되면 보시는 것과 같이 요청패킷과 응답이 돌아오는 경로를 패킷내에 포함해 패킷에 표시하게 합니다. IP헤더에서 9개까지만 받을 수 있으므로 그 이상은 표시할수가 없으며 대부분의 라우터나 방화벽에서 이를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 보내게 되면 무시하거나 버리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s 옵션 패킷의 사이즈를 정해 보내는 옵션입니다. 화면에서 보시듯 -s 10으로 보낸 것과 기본 default size값으로 보내 보았고 이를 패..
이번에는 Linux 에서 ping option 사용법 2번째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현재 계획은 30개 가량의 옵션을 3번에 걸쳐 작성하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한번에 전부 다 쓰는 것은 무리가 되더군요 자 그럼 바로 1번째 다음 옵션 부터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l (preload) 옵션 (소문자 L) preload에 지정하는 값 만큼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보내는 옵션입니다. 일단 캡처 먼저 보시죠 캡처는 작동이 시작하자마자 바로 종료한 것입니다. 맨 마지막에 pipe 10이 보이시나요? 10개를 한꺼번에 보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자면 preload 값에 3을 지정하게 되면 3개의 요청을 바로 보내고 10을 지정하게 되면 10개를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10개를 바로 보냅니다. ..
Ping 옵션에 대하여 Linux에서의 사용법을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사실 옵션이 윈도우에 비해서... 많은 관계로 글을 나눠서 작성하려고합니다. Windows나 ping 개념을 원하시면 아래 글로 이동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Ping의 기본 개념 2018/04/23 - [Analysis/Network] - Ping & Traceroute Windows에서의 ping 사용법 2018/04/23 - [Analysis/Network] - Ping의 다양한 option 사용법-1 (Windows) IPG/EWMA란? 2018/04/24 - [Analysis/Network] - ipg/ewma란? 차이 Linux에서는 Windows에서보다 옵션이 더 많으며 기본적으로 Windows에서는 default가 4개의 ..
Ping에 대해 간단한 설명 드렸었는데요 2018/04/23 - [Analysis/Network] - Ping & Traceroute 2018/04/24 - [Analysis/Network] - Ping의 다양한 option 사용법 2-1 (Linux) 이번에는 옵션에 관하여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윈도우의 옵션들을 정리해볼게요 옵션 중 자주 사용되는 옵션들만 설명 할께요. -t 옵션 : 사용자가 중단하기 전까지 지속됩니다. -n (count) 옵션: 보낼 횟수를 정하는 옵션입니다. 두가지는 같이 사용할 수 없겠죠? 두가지를 같이 사용해 보면 n 10의 옵션이 우선되어 10개의 응답 요청만 보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l (size) 옵션 : 데이터 크기를 정합니다. 네트워크 상황에..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관련된 용어를 하나씩 실습하며 정리할 수 있게 하려고 하면서 고민을 많이 했는데요. 우선 처음으로 네트워크 취약점 진단, 모의해킹 등. 상태 파악을 위해 사용하는 Ping과 traceroute(tracert)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가장 단순하면서도 좋은 명령어로 네트워크 환경 파악을 위해서 사용됩니다. ping은 icmp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명령어에 지정한 주소로 응답요청을 보내고 그 응답을 받아 네트워크 상태를 파악하게 하는 명령어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ping 구글도메인 ping 명령어 뒤에 구글 주소 지정하여 icmp응답요청을 보냈습니다. 당연히 이 도메인명외에 IP 주소로도 입력 가능합니다. ping 172.217.25.196 구글 주소의 IP..
- Total
- Today
- Yesterday
- pingoption
- 악성코드
- 기초
- PE header 구조
- 리버싱
- AirCrack
- 영화 조커
- 올리디비지
- peview
- PE 구조체
- printf
- 영화 해석
- 정보처리기사실기
- 정보처리기사
- aircrack-ng
- ping option
- reversing
- PE 구조
- ping 옵션
- OllyDbg
- C언어
- ping
- 핑
- VMware
- 조커 해석
- 정보보안기사
- pe header
- PE
- Network Ping
- linux p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