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ollydbg 사용하면서 정리해놓았던 단축키 입니다.
사용할때 자주 사용하고 분석에 필요한 단축키 정리해 놓았습니다.
명령어 |
단축키 |
설명 |
Restart |
Ctrl + F2 |
처음부터 다시 디버깅 시작 |
Step Into |
F7 |
하나의 OP code 실행 (CALL 명령을 만나면, 그 함수 코드 내부로 들어간다) |
Step Over |
F8 |
하나의 OP code 실행 (CALL 명령을 만나면, 그 함수 코드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함수 자체를 실행) |
Execute till Return |
Ctrl + F9 |
함수 코드 내에서 RETN 명령어까지 실행 (함수 탈출 목적) |
Go to |
Ctrl + G |
원하는 주소를 찾아간다 |
Run |
F9 |
실행 (BP가 걸려있으면 그곳에서 실행이 정지) |
Execute till cursor |
F4 |
Cursor 위치 까치 실행 |
User-defined comment |
마우스 메뉴 Search for – |
사용자가 입력한 comment 목록 보기 |
User-defined label |
마우스 메뉴 Search for – User-defined label |
사용자가 입력한 Label 목록 보기 |
Breakpoint |
F2 |
Break point 설정/해제 |
All referenced text strings |
마우스 메뉴 Search for – |
코드에서 참조되는 문자열 보기 |
All intermodular calls |
마우스 메뉴 Search for – |
코드에서 호출되는 모든 API 함수 보기 |
Name in all modules |
마우스 메뉴 Search for – |
모든 API 함수 보기 |
Edit data |
Ctrl + E |
데이터 편집 |
Assemble |
Space |
어셈블리 코드 작성 |
'Analysis > Reve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 Header 구조 정리글 두번째 (0) | 2018.05.08 |
---|---|
PE Header 구조 정리글 첫번째 (0) | 2018.05.08 |
Lena's tutorial 1 (Key File ReverseMe) (0) | 2018.05.03 |
입문자를 위한 ollydbg 기초 실습 (0) | 2018.05.01 |
정적 분석과 동적 분석이란? (0) | 2018.05.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핑
- PE header 구조
- Network Ping
- 영화 조커
- OllyDbg
- aircrack-ng
- reversing
- ping option
- AirCrack
- 악성코드
- ping 옵션
- 리버싱
- VMware
- pe header
- 영화 해석
- C언어
- 정보보안기사
- 정보처리기사실기
- PE 구조체
- printf
- linux ping
- 기초
- pingoption
- PE 구조
- ping
- 올리디비지
- 정보처리기사
- 조커 해석
- peview
- P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