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에는 주석에 관해서 설명 드릴려고 합니다.
주석이란 코드를 작성하여 프로그램을 만들 때 컴파일되지 않는 부분으로 보통 코드를 이해하기 위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작성됩니다.
왜?
왜 사용 해야하나?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이 함수의 기능이나 함수를 사용한 이유 등등 단시간에 쭉 작성하여 만드는 것이 아닌 긴시간에 걸쳐 작성하고 혼자만의 작업이 아니라 협력하여 작업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드를 분석하고 이해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에 주석이 없다면 많은 시간을 투자하거나 분석을 잘못할 수 있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석은 필수적으로 작성하도록 습관화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주석을 다는 방법에 대해서도 말씀드리겠습니다.
방법은 두가지가 존재합니다.
예제를 들어가며 설명하겠습니다.
예제
1 2 3 4 5 6 7 8 9 10 11 | #include <stdio.h> /* 헤더 선언 하기*/ int main( void ) // Hello world!출력 { printf ( "hello world!\n" ); return 0; /* printf로 hello world! 출력하고 return 0 으로 함수 종료 시킵니다. */ } |
블럭 단위 주석
우선 두번째 줄에 '/* */' 를 보시면 사이에 주석할 내용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 */' 주석은 블럭 주석이라고 하여 '/*'로 시작하여 '*/'로 끝내는 곳 까지 모두 주석처리를 합니다.
마지막에도
/*
printf로 hello world! ~
~ 종료 시킵니다.
*/
로 중간에 작성된 내용은 주석이 됩니다.
행 단위 주석
행단위 주석인 '//'는 '//'의 뒤로 그 줄(행) 에서 따라오는 것은 주석처리가 되는 것으로 다음 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주석 달기는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주석 달기와 함께 항상 변수를 초기화 하는 것도 습관화 하시는 것이 추천합니다.
'Coding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수 사용하는 법 (0) | 2018.05.11 |
---|---|
C의 Data type (0) | 2018.05.03 |
C언어 printf 다양하게 사용해보기 (0) | 2018.04.27 |
C의 기본 구성 (Hello world 출력) (0) | 2018.04.27 |
- Total
- Today
- Yesterday
- 핑
- 리버싱
- PE
- PE 구조체
- reversing
- 올리디비지
- 정보처리기사
- pingoption
- 기초
- pe header
- VMware
- PE header 구조
- 악성코드
- 조커 해석
- ping option
- 정보처리기사실기
- 정보보안기사
- 영화 조커
- ping 옵션
- PE 구조
- 영화 해석
- linux ping
- peview
- OllyDbg
- ping
- AirCrack
- C언어
- aircrack-ng
- printf
- Network P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